Section29-32,33 37 38-39Section29-32,33 37 38-39
Posted at 2013. 4. 8. 10:10 | Posted in 1학기/컴퓨터그래픽29. 콘텐츠 어웨어 무브 툴 : 선택 영역을 이동 또는 복제
Mode : Move / Extend
원치 않는 배경 제거 : 선택영역 지정한 후 -> [Del]눌러 use = Content-Aware
31. 도장툴 : Alt+복제할 대상 클릭 -> 원하는 위치에 드래그
vs 힐링브러시 툴과 차이 p172
32. 패턴 도장툴 : 패턴 정의 -> 등록한 패턴 선택 -> 드래그
33. 브러시툴, 연필툴
선을 그리는데 사용
Shift+드래그 : 수평선/수직선/45도 각도선
브러시 툴 옵션
*size : 브러시 크기 조절, 단축키[]
*hardness : 브러시 가장자라의 선명한 정도(100% 선명)
*mode : 브러시 모드 p 298
*opacity : 브러시 색상의 투명도 조절
*flow : 브러시 흐름의 불투명도 양 조절
연필툴 : 브러시 툴과 비슷, hardness 조절 안됨
지우개, 백그라운드 지우개, 매직 지우개 툴
* 지우개 툴 : 배경레이어 잠금일때 (배경색으로 채워지고) 일반 레이어 일때 (지워진 부분 투명하게)
* 백그라운드 지우개 툴 : 레이어 잠금과 상관없이 투명하게
* 매직 지우개 툴 : 클릭한 지점의 색상영역 한번에 지워짐 (투명하게)
* 그라디언트툴 : 선택 영역을 다양한 색상으로 순차적으로 부드럽게 채워줌.
드래그 길이에 따라 그라데이션 느낌이 다르다.
★ 그라데이션 색상 편집기(색상 추가/제거)
* 페인트 버킷 툴 : 클릭 한번으로 선택영역에 단색 칠
'1학기 > 컴퓨터그래픽'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c49. 쉐이프 툴 (0) | 2013.04.22 |
---|---|
sec43-47. 펜툴 (0) | 2013.04.15 |
sec41. 블러, 샤픈, 스머지 툴 (0) | 2013.04.15 |
3D 머티리얼 드롭 툴 (0) | 2013.04.15 |
퀵 셀렉션 툴, 마술봉 툴, 올가미툴, 다각형 올가미툴, 자석 올가미툴 (0) | 2013.03.25 |
Little Endian / Big EndianLittle Endian / Big Endian
Posted at 2013. 4. 7. 20:11 | Posted in 1학기/IT창의공학 1. 빅엔디안
- 주로 UNIX를 사용하는 RISC 프로세서 계열에서 사용하는 바이트 오더
-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 표준으로 사용하는 바이트 오더
- 메모리 시작 주소에 상위 바이트 부터 기록
ex)
4바이트(32bit)값 0x01020304를 빅엔디안 순서로 메모리에
입력되는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그림을 보면 네모 한칸이 각각 메모리 한 번지를 의미하며,하위 주소에서 상위 주소로 주소 번지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하위주소 즉 시작 주소에 0x01020304 값중 가장 상위바이트인 0x01을 넣고, 다음 주소에 각각 하위바이트 값들을 넣어준다.
TIP: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는 바이트 오더(순서)로 빅엔디안을 따르도록 하고 있으므로,
흔히 Intel계열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PC환경에서는 리틀엔디안->빅엔디안 또는
빅엔디안->리틀엔디안 변경 처리를 잘 해주어야만 한다.
(htonl, ntohl, inet_addr 등 주로 사용)
2. 리틀엔디안
- 주로 Intel 프로세서 계열에서 사용하는 바이트 오더
- 메모리 시작 주소에 하위 바이트부터 기록
ex)4바이트(32bit)값 0x01020304를 리틀엔디안 순서로 메모리에
입력되는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 그림을 보면 네모 한칸이 각각 메모리 한 번지를 의미하며,하위 주소에서 상위 주소로 주소 번지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하위주소(낮은주소) 즉, 시작 주소에 0x01020304 값 중에 가장 하위바이트인 0x04를 넣어주고 그 다음 상위바이트로 올라가면서 다음 주소번지에 값을 채워넣는다.
[출처] Big/Little Endian|작성자 brokenmagnum
프레젠테이션 기술프레젠테이션 기술
Posted at 2013. 3. 31. 15:46 | Posted in 1학기/프레젠테이션기술프레젠테이션 기술
프레젠테이션 기획과 디자인
프레젠테이션이란?
어떠한 주제를 가지고 자료를 수집, 정리, 집계를 해서 자신만의 장점을 살려서 발표하는 것을 말합니다.
한마디로 설명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성공적인 기획과 프리젠테이션을 위해 크게 4가지의 준비 단계가 필요합니다
정보수집 / 조사 -> 스토리 만들기 -> 문서 작성, 표현하기 -> 프리젠테이션 하기
프레젠테이션과 좋은 기획서의 조건
1. 프레젠테이션의 필요성
- 프레젠테이션은 언제 어느 때 닥칠지 모른다. 지금까지 한 번도 프레젠테이션을 해본 적이 없거나 당장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언젠가는 프레젠테 이션을 해야 할 상황에 직면하고 되고 미리미리 이에 대응하고 준비해야한다.
2. 서론 – 본론 – 결론 의 논리전개
1) 서론 : 프레젠테이션의 도입부분이며 , 이야기의 방향, 진행 개요 주의집중과 화두를 제시하여야 되고 배경, 목적 필요성 등 결론암시도 포함하여야 한다.
2) 본론 : 서론에게 제시한 요소들을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3) 결론 : 논리의 마무리이며 핵심을 재 요약하고, 궁극적으로 이야기 하고자 하는 사항을 말하며 청중에게 기대하는바와 이후 행동을 제시한다.
3. 서론 – 본론 – 결론 의 스피치 요령
1) 서론 : 신뢰감과 주의집중을 유도하는 도입언어를 사용하고 말하고자 하는 사항을 분명하게 전달 및 청중의 호기심을 자극해야 한다. 그리고 프레젠테이션을 주도권을 쥘 수 있도록 해야하며 감성에 호소한다.
2) 본론 : 본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하고 논리가 이탈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차분하게 말하면서 언어의 강약 조절을 잘하여야 하고, 핵심사항에 대한
부연설명을 덧붙이며 서론과 다르게 이성에 호소하여야 효과적이다.
3) 결론 : 핵심내용을 반복 전달하고 강하고 자신감 있게 결론 메시지를 전달하여
야 하고, 청중의 요구나 질문의 대응 및 청중의 행동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고 결론 부분에서는 이성과 감성에 모두 호소하여야 한다.
4. 핵심 전달
- 목차는 기획서의 핵심을 안내하는 네비게이션과 같은 역할을 하므로 목차 항목을 잘 선정 해야 한다.
- 프레젠테이션은 가급적 장문보다는 단문으로 끊어서 이야기 해야 한다.
- 먼저 크게 대전제인 핵심 또는 결론을 이야기 하고 작게 소전제를 풀어나가는 연역
적 접근방법을 채택해야 한다.
5. 프레젠테이션 도구와 장비사용
- 상황과 목적에 맞는 도구와 장비를 선택한다.
- 가급적 세트 플레이를 할 수 있도록 활용한다.
- 청중의 기호와 취향에 부합하는지 확인한다.
- 필요적 적절하게 포인터를 활용한다.
- 파워포인트 프로그램이나 기타 장비선택은 너무 앞서가지도 뒤처지지도 않게 한다.
6. 프레젠테이션 준비 착안사항
1) 준비의 핵심은 3P분석이다.
- 사람, 목적, 장소 분석을 잘하여야 하며 삼위일체가 되어야 한다.
2) 보조자료의 활용
- 메모카드의 이점을 충분히 활용 하여야 한다.
- 유인물이나 부가자료는 별도로 준비한다.
3) 철저한 장소 확인 및 분석
- 레이아웃 원리에 맞게 배치하여야 한다.
- 장소가 정해진 경우 미리 가서 정검을 한다.
- 간접적이라도 확인하고 , 배치도를 그려본다.
4) 예행연습
- 실제상황과 똑같이 예행 연습을 한다.
- 예행연습 결과를 피드백하여 즉시 수정 보완한다.
- 너무 무리한 예행연습은 오히려 독이 될수 있다.
프레젠테이션의 성공전략(기획+실전)
1. 과거의 실패를 잊어라.
2. 편견과 선입견은 버려라.
3. 한번 다르게 행각해라.
4. 사람들은 이야기를 좋아한다. 정보형식이 아니라 이야기형식으로
5. 내 이야기를 하라.
6. 질문으로 소통하라.
7. 다양하게 생각해라.
프레젠테이션의 디자인
프레젠테이션과 시각자료
○ ‘백문이 불여일견’이란 말처럼 청중이 ‘시각’을 통해 정보를 흡수하는 능력은 매우 뛰어남
○ 사람이 정보를 흡수하는 센서에는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의 5가지가 있는데, 이 중 시각의 정보흡수율은 무려 83%나 된다고 함
○ 시각자료의 이점
▷ Attention : 청중이 주의를 환기하고 주목하게 한다.
▷ Interest : 청중의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유지시킨다.
▷ Desire : 발표자의 말을 더욱 설득력 있게 하여 청중의 의사결정 욕구를 불러일으킨다.
▷ Memory : 내용에 대한 청중의 기억력을 향상시킨다.
▷ Action : 청중이 더욱 빨리 의사결정을 하도록 한다.
프레젠테이션을 잘 만드는 노하우
1. 네가 진짜 하고싶은 말이 뭔데?
2. 훈련만이 살 길! 연습하고 또 연습하라!
3. 나만의 '무기'를 활용하라! - 발표를 더 잘할수 있게 도와주는 카드!
4. 케뮤니케이션을 하라!
5. 노력과 열정을 가지고하라!
프레젠테이션 작성할 때 주의 사항
1. 텍스트를 줄이자
2. 불필요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없애자.
3. 이미지는 크면 클수록 좋다.
4. 한 슬라이드를 너무 오래 보지말자.
5. 만들어놓은 슬라이드를 그냥 넘기지 말자.
6. 리허설을 하자.
7. 유머를 섞자.
8. 비유를 적절히 이용하자.
9. 읽지 말자.
10. 폰트를 적절히 사용하자.
11. 레이저 포인트를 사용하지말자. - 시선이 분산되지않게 만들자.
프레젠테이션의 발표 능력
Q&A에 대처하라 ︳Q&A에서 나올 수 있는 질문 리스트를 만들고 미리 답변도 준비해둔다.
모든 질문을 예상할 수는 없겠지만, 준비한 질문 중 하나라도 건진다면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미처 준비하지 못한 나머지 질문에 대해서도 여유있게 대처할 수 있다.
키워드는 3~4개로 제한해라 ︳ 정해진 시간 안에 전달하고 싶은 내용을 모두 전달하려면
그 중에서도 가장 강조해야 하는 것, 가장 깊은 인상을 남길 수 있는 내용만을 선택해야 한다.
발표(프레젠테이션)환경을 미리 조사하라 ︳발표(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할 장소나 그곳의 장비 상황들을
사전 점검하라. 준비한 내용을 얼마나 적절하게 전달할 수 있는지 미리 점검해야 한다.
한번이라도 직접 가본 곳에서는 불안감이나 긴장도가 줄어드는 효과도 함께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