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의 표현정보의 표현

Posted at 2013. 4. 9. 14:18 | Posted in 1학기/IT창의공학

ⓐ 컴퓨터의 자료 표현 원리

 

① 두 가지 정보 표현

 

- 컴퓨터 내부에서 전기가 흐르거나 흐르지 않는 두 가지 전기 신호만을

   표현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자료를 처리하고 저장

- 컴퓨터는 전기가 흐를 경우 '1', 흐르지 않을 경우 '0'으로 표현하는 2진수

   체계를 사용

 

② 비트 ( Bit )

 

- 컴퓨터의 정보 처리 단위 중에서 가장 작은 정보 단위

- Blnary digit

 

 

ⓑ 표현 단위와 저장 용량

 

① 바이트

 

- 비트가 연속적으로 8개 모인 정보 단위

- 2의 8승인 256가지 종류의 정보 저장 가능

 

 니블과 워드

 

- 바이트의 ½ 크기인 4비트를 니블 ( Nibble )

- 바이트가 4개 모이면 워드 ( Word )

     * 시스템마다 크기가 다를 수 있음

 

③ 저장 용량

 

- Kb

- Mb

- Gb

- Tb

- Fb

 

 

 

 

ⓒ 진수 ( 기본적인 진수와 변환법은 게시판에 존재하므로 패스하도록 하겠습니다 ^-^ ! )

 

① 2진수의 음수 표현

 

㉠ 1의 보수

 

- 주어진 이진수의 비트를 각각 0은 1로, 1은 0으로 변환하는 방법

 

㉡ 2의 보수

 

- 음수를 표현하는 방식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 2의 보수를 이용한

   표기 방법

     * 비트의 모임에서 가장 왼쪽의 비트가 최상위 비트 ( Msb )

 

- 음수의 이진수 표기인 2의 보수를 구하는 방법

     * N비트에서 -a의 2의 보수 계산 방법 :: 2ⁿ - a

 

- 2의 보수를 구하는 다른 방법

     * 단계 1 :: 음수의 절대값인 양의 정수의 이진수를 n 비트에서 구한다.

     * 단계 2 :: 단계 1에서 얻은 이진수의 1의 보수를 n 비트에서 구한다.

     * 단계 3 :: 단계 2에서 얻은 이진수에 1을 더한 n 비트만을 취한다.

 

- 4비트에서 -4를 2의 보수로 표현

     * 단계 1 :: 음수의 절대값인 양의 정수의 이진수를 n 비트에서 구한다.

     * 단계 2 :: 단계 1에서 얻은 이진수의 1의 보수를 n 비트에서 구한다.

     * 단계 3 :: 단계 2에서 얻은 이진수에 1을 더한 n 비트만을 취한다.

 

㉢ 부호가 있는 정수 표현

 

- 2의 보수 이용

 

* 컴퓨터는 정수의 양수와 음수를 표현하는데 주로 2진수와 2의 보수를 이용

* 8비트의 메모리로는 2의 8승인 256가지 정보를 표현

 

 

㉣ 부호가 없는 정수와 오버플로

 

- Signed

     * 양수와 음수를 모두 다루는 정수

 

- Unsigned

     * 양수만을 다루는 정수

 

② 오버플로

 

- n개의 비트로는 표현의 한계가 잇으므로 n비트의 메모리에 표현 범위를 초과하는

   수의 값을 저장하는 경우 오버플로 ( OverFlow ) 발생

 

 

③ 부동소수

 

㉠ 정규화

 

- 실수의 표현을 표준화하는 방법인 정규화는 실수의 소수점을 이동하여 소수점 왼쪽에

   단 하나의 자릿수가 오도록 하는 방법

- 정규화된 실수 표현을 부동소수

- 부동 소수는 수의 소수점의 위치를 움직일 수 있게 한다는 의미

 

ex ) 19 . 15923 = 1 . 915923 x 10²

    (정규화 전) (가수)  (지수)

                        ( 정규화 후)

ex ) 9876 . 5432 = 9 . 8765432 x 10³

      ( 정규화 전)   ( 정규화 후)

 

㉡ 지수와 가수

 

- 부동소수는 소수 부분과 지수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를 각각 가수와 지수

- 가수는 수의 정밀도를, 지수는 수의 크기를 표현

- 저장방법은 부동소수의 표현을 부호부, 지수부, 가수부로 나누어 이진 표현으로 저장

 

 

 

ⓒ 문자와 논리

 

① 문자와 코드표

 

- 영문자는 7개의 비트의 조합으로 표현

 

② 아스키코드

 

- Ascll

     *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 미국 표준협회에서 국제적인 표준으로 정한 문자 코드 체계

     * 7비트를 사용하여 128개의 문자, 숫자, 특수문자 코드를 규정

 

- 아스키코드가 7비트를 이용하지만 실제로 한 문자는 8비트인 1바이트에 저장

     * 한 문자에 시작은 0으로, 나머지는 코드값으로 구성

 

③ Ebcdic

 

- 엡시딕

     * Extended Binary Coded Decimal Interchange Code

     * 8비트를 사용하여 문자를 표현하는 코드 표준으로 IBM에서 제정한 코드

 

④ 유니코드

 

- 유니코드는 전세계 모든 언어를 하나의 코드 체계 안으로 통합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코드

     * 전 세계의 문자를 모두 표현하기 위한 2바이트인 16비트로 확장된 코드 체계

 

* 논리

 

     = 참과 거짓을 의미하는 두가지 정보가 논리 값

     = 하나의 비트 정보도 0과 1이므로 이를 각각 거짓과 참으로 표현

 

ⓓ 정수 연산

 

① 정수의 덧셈

 

- 정수의 연산에서 주의할 것은 정해진 비트를 넘어서는 올림은 무시

 

② 정수의 뺄셈

 

- 정수의 뺄셈에서는 2의 보수를 이용한 음수의 표현 방법을 이용

- a - b 의 연산은 a + ( - b ) 로 변환하여 덧셈을 수행

- 4 - 4 = 4 + ( - 4 )

 

'1학기 > IT창의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밍 언어  (0) 2013.04.09
순서도  (0) 2013.04.09
컴퓨터 구조 2  (0) 2013.04.09
컴퓨터 구조  (0) 2013.04.09
Little Endian / Big Endian  (0) 2013.04.07
//

Table 태그Table 태그

Posted at 2013. 4. 9. 14:17 | Posted in 1학기/홈페이지제작

ⓐ TABLE 

 

① 정의

 

- 표의 시작과 끝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태그

 

② 관련 태그

 

- CAPTION :: 표 이름을 정할 때 사용 ( 없어도 무관 )

- TH :: 제목 셀을 만들 때 사용 ( 없어도 무관 )

- TR :: 행의 구분을 지을 때 사용

- TD :: 데이터 셀을 만들 때 사용

 

ex ) <TABLE>

         <TR>

            <TH> 제목1 </TH>

            <TD> 내용 1 </TD>

         </TR>

         <TR>

             <TH> 제목 2 </TH>

             <TD> 내용 2 </TD>

         </TR>

         </TABLE>

라고 쓰게 된다면 결과물은 단순히

 

제목1   내용1

제목2   내용2

 

로 나오게 된다. 결과물을 보았을 때에는 아무런 선 표시도 존재하징낳고 글자만 저렇게 분리되 있으므로

일부로 표처럼 보이지않고 정돈되게 글을 적을 때에도 사용된다고 한다.

 

③ 테이블 태그 속성

 

㉠ <width=" "> "" 사이에는 픽셀수나 %가 들어가며 표의 전체 너비를 정한다.

㉡ <height=" "> "" 사이에는 픽셀수나 %가 들어가며 표의 전체 높이를 정한다.

㉢ <bgcolor=" "> "" 사이에는 #RRGGBB가 들어가며 표의 배경색을 정한다.

㉣ <background=" ">"" 사이에는 이미지의 이름과 위치가 들어가며 표의 배경 이미지를 정한다.

㉤ <align> 표의 정령방식을 정한다. "" 사이에는 right나 left 혹은 top 과 같은 것이 드간다.

㉥ <cellpadding=" "> ""사이에는 숫자가 들어가며 셀 안의 여백을 정한다.

㉦ <cellspacing=" "> ""사이에는 숫자가 들어가며 셀 간의 여백을 정한다.

㉧ <border=" "> 보통 표에 나오는 선같은걸 넣는 속성태그가 이것이며. "" 사이에는 픽셀 수가

                         들어간다.

㉨ <bordercolor=" "> 테두리의 색을 결정할 때 들어가며 "" 사이에는 #RRGGBB가 들어간다.

㉩ <bordercolordark=" "> "" 사이에는 #RRGGBB가 들어가며 표의 그림자를 정한다.

㉪ <frame=" "> "" 사이에는 voide, hside, vside 등이 들어가며 테이블선의 유무를 정한다.

㉫ <rules=" "> "" 사이에는 none, rows, cols 등이 들어가며 테이블 안쪽 경계선의 지정에 관여한다.

㉬ <hspace=" "> "" 사이에는 left, right가 들어가며 테이블 내용의 수평 정렬을 정한다.

㉭ <vspace=" "> ""사이에는 top, bottom가 들어가며 테이블 내용의 수직 정렬을 정한다.

㉮ <colspan=" "> ""사이에는 숫자가 들어가며 여러 열에 걸친 셀을 병합하는 태그이다.

㉯ <rowspan=" "> ""사이에는 숫자가 들어가며 여러 행에 걸친 셀을 병합하는 태그이다.

 

④ 추가 설명

 

㉢,㉣ -> <TABLE>에 사용하면 표 전체에 지정하는 속성 태그가 된다.

              <TD> or <TH>에 사용할 시에는 각각의 셀에만 지정 되며 <TABLE>태그에 지정한것 보다

               우선순위를 지닌다.

               <TR>에 사용시 줄 단위로 지정하게 되며 ㉣은 제외다.

 

<TD>에는 ㉠만 사용이 가능하며 <TR>에는 ㉡만 사용이 가능하다.

 

㉤ 을 <TR>에 사용하게되면 테이블 속 모든 데이터를 정렬할 수 있다.

 

㉤ 을 <TABLE> 태그에 사용하면 텍스트와 표를 나란히 배치할 수 있다


 

'1학기 > 홈페이지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1강 -2  (0) 2013.05.13
1강  (0) 2013.05.13
태그정리  (0) 2013.05.13
태그의 특징  (0) 2013.04.09
html 태그  (0) 2013.04.09
//

html 태그html 태그

Posted at 2013. 4. 9. 14:14 | Posted in 1학기/홈페이지제작

ⓐ < Br > 줄을 바꿀때마다 사용

             - <Br><Br>을 사용하시면 한 줄을 띄우고 쓰게 됨

 

ⓑ < H? > 글씨 크기를 조절하는 태그랍니다. ? 에는 1 ~ 7 까지의 숫자가 들어감

             - 숫자가 작아질수록 더 큰 글씨가 나옴

 

ⓒ <div> 문단을 구분할 때 사용 되는 태그입니다.

            ex . <div align=left>내용</div>

                       * align에는 굳이 left가 아니라도 상관 없습니다. 태그 사이의 내용만 문단으로 구분합니다

 

ⓓ <center> 중앙정렬에 사용하는 태그

 

ⓔ <hr> 수평선을 넣을때 사용하는 태그입니다.

            ex . <hr size=굵기 width=길이 align=정렬 방식 color=색상 Noshade>

 

ⓕ <pre> 키보드로 입력한 형식 유지

 

ⓖ <P> 문단 구분 및 줄바꿈

 

ⓗ <B> , <STRONG> 굵은 글씨를 만들때 씁니다.

 

ⓘ <SUP> 위 첨자에 사용되는 태그입니다. km² 이런거 처럼 말이지요...

             ex . km<SUP>2</SUP>

 

ⓙ <SUB> 아래 첨자에 사용되는 태그입니다.

 

ⓚ <U> , <INS> 밑줄을 그을때 쓰입니다.

 

ⓛ <STRIKE> , <DEL> 취소표시, 텍스트 중간에 선 그을 떄 쓰는 겁니다!

 

ⓜ <I> , <EM> 글씨를 기울일 때 사용되는 태그입니다.

 

ⓝ <Font> 글자 속성을 다루는 태그입니다.

               ex . <Font face="글꼴">, <Font Size="1~7">, <Font Color="#RRGGBB">

                          * 글꼴은 여러개를 넣을 수 있으며, 그 중 해당 페이지를 열어보는 컴퓨터 내에 있는 글꼴이 

                             채택됩니다.

                          * 컬러의 RRGGBB는 각 RGB색상이며 0 ~ F 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 <Base Font> 웹 페이지 전체에 적용되는 글자 속성을 다루는 태그이며 사용된 태그 아래부터 저용됩니다.

                          * Bafs Font보다는 Font가 더 우선적용 됩니다.

 

ⓟ <body> html의 주요 내용 부분을 나타내는 태그이기도 하며 여러가지 속성이 존재합니다.

 

            ① <body text="#RRGGBB"> 웹페이지 전체에 적용되는 글씨색을 정하는 태그입니다.

            ② <body BGcolor="#RRGGBB"> 웹페이지의 배경색을 지정하는 태그입니다.

            ③ <body background="파일명"> 배경 이미지를 지정하는 태그입니다.

                       * 배경 이미지가 스크롤이 불가능하게 할려면 BGPROPERTIES="FIXED"를 추가

                          해야 합니다.

            ④ <body Link=#RRGGBB VLINK=#RRGGBB ALINK=#RRGGBB> 각각 링크의 색을 바꾸는 태그입니다.

                       * Link는 선택하지 않은 링크, VLink는 선택한 적이 있는 링크, ALink는 활성화 된 링크 입니다.

 

ⓠ <TT>, <CODE>, <KBD>, <SAMP> Monospaced글꼴로 변경시키는 태그입니다.

                       * Monospaced글꼴은 글자 하나하나가 차지하는 공간이 모두 같은 글꼴을 의미합니다.

 

ⓡ <BLOCKQUOTE> 웹페이지 양쪽이 조금씩 들여쓰기가 된 형태로 보여주는 태그입니다.

 

ⓢ <Q> 짧은 인용문 " " 이 나온다고하네요... 이건 저도 안써봐서 잘 몰겟어요 ㅠ

 

ⓣ <OL> 순서가 있는 목록 제작시에 사용되는 태그입니다. 이 태그와 같이 쓰이는 태그가 < LI> 임당!

      type 값에는 1 or A or a 등이 사용되며 순서대로 표시됩니다.

                     ex . <OL TYPE="1">

                            <LI> 하나아                                1. 하나아

                            <LI> 두우울                ->            2. 두우울

                         </OL>

                       * <LI>태그에 Value 속성을 추가해 순서대로가 아닌 임의의 숫자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ex . <OL TYPE="1">

                                               <LI> 하나아                                        1. 하나아

                                               <LI VALUE="3"> 두우울          ->          3. 두우울

                                            </OL>

 

ⓤ <UL> 순서가 없는 목록 제작시 사용되는 태그이며, 마찬가지로 <LI>태그와 함께 사용됩니다.

              *UL TYPE에는 circle, disc, square가 사용되며 각 타입에 따라 <LI>태그에 나오는 모양이 바뀝니다.

 

ⓥ 사전에 주로 쓰일법한 태그들

 

          ① <DL> 정의 목록 시작

          ② <DT> 항목의 시작

          ③ <DD> 각 항목에 대한 정의 부분의 시작

                   * 위의 3가지 태그는 저도 안써봐서 자세히는 모르겠습니다...

 

ⓦ <IMG> 이미지를 올릴 때 사용되는 태그입니다.

          

           ① src="파일명"  말그대로 올리려하는 이미지의 파일명을 작성하는 속성입니다.

           ② alt="설명문" 해당 이미지에 마우스를 올렸을 때 나오는 설명을 작성하는 속성입니다.

           ③ width="숫자" 가로 너비를 조정하는 속성입니다.

           ④ height="숫자" 세로 너비를 조정하는 속성입니다.

           ⑤ border="숫자" 테두리를 만드는 속성입니다.

           ⑥ align="정렬 방식" 이미지의 정렬방식을 정하는 속성이며 Top, Middle, Bottom, Left, Right등이 사용

           ⑦ vspace="숫자" 상하의 여백을 정하는 속성입니다.

           ⑧ hspace="숫자" 좌우의 여백을 정하는 속성입니다.

 

ⓧ <BR Clear="명령어"> 사용시 이때까지 정해져 있던 규칙을 다음 줄 부터 적용시키지 않는 태그입니다.

              * 명령어에는 all과 Left와 Right가 사용됩니다.

 

ⓨ <A> 다른 웹페이지로의 링크를 할 때 사용되는 태그입니다.

                ex . <A HREF="URL" TITLE="설명" TARGET="창이름"> 태그 이름 </A>

 

           ① 동일 컴퓨터 내의 2개의 웹페이지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법

                     - <a href="파일명" title="설명" target="창이름">

           ② 다른 컴퓨터 내의 2개의 웹페이지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법

                     - <a href="URL">

           ③ 메일 주소로 바로 연결하는 법

                     - <a href=mailto:메일주소?subject=메일제목>

           ④ 한 문서 내에서 이동하는 법

                     - <a href="#top">    top 외에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⑤ 같은 웹페이지 안에서 지정한 위치로 이동하는 법

                     ㉠ 도착되야할 장소의 제목을 <A NAME="제목"></A> 식으로 적습니다. 

                     ㉡ 링크를 놓고 싶은 위치에 <A href="#제목">을 만들고 이것을 클릭하게 되면

                          <A NAME="제목"></A>가 적혀있는 위치로 이동하게됩니다.

           ⑥ 다른 웹페이지에서 이 웹페이지의 지정된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법

                     - <A HREF="URL#목표"> 목표는 5번사항과 같이 <A NAME="목표"></A>가 적혀있는 위치로

                         이동하게 됩니다.

 

'1학기 > 홈페이지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1강 -2  (0) 2013.05.13
1강  (0) 2013.05.13
태그정리  (0) 2013.05.13
태그의 특징  (0) 2013.04.09
Table 태그  (0) 2013.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