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패킷 분석IP 패킷 분석
Posted at 2018. 4. 16. 11:00 | Posted in 2-1학기/Network'2-1학기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hernet IP TCP 패킷분석 (0) | 2018.06.04 |
---|---|
UDP패킷분석 (0) | 2018.05.03 |
ARP (0) | 2018.04.11 |
ARP 프로토콜 문제 (0) | 2018.04.09 |
GCC로 C언어 프로그래밍 (0) | 2018.03.21 |
ARPARP
Posted at 2018. 4. 11. 20:07 | Posted in 2-1학기/NetworkAddress Resolution Protocol
OSI 7 Layer에서 Layer 3에 위치한 프로토콜이며, MAC 주소와 IP 주소를 서로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논리주소
- 호스트나 라우터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레벨 주소
- 전세계적으로 유일한 주소
- 소프트웨어상에 구현
- IP주소
- 32비트 길이 (x.x.x.x)
■물리주소
- 로컬 네트워크에서 유효한 주소
- 로컬 주소 (local address)
- 로컬에서만 유일하면 됨
- 보통 하드웨어로 구현
- 호스트나 라우터내에 설치된 NIC에 들어있음. (ex: 랜카드 등)
- MAC주소를 의미 48비트 (x-x-x-x-x-x)
■정적 변환(Static mapping)
- 논리주소와 물리주소 연관 테이블 생성
- 네트워크상의 각 시스템에 저장
- 필요시 테이블 검색
- 물리 주소가 변경될 경우 정적 테이블의 갱신으로 인한 오버헤드가 발생.
(NIC변경, 이동 컴퓨터의 네트워크 이동 등)
※. 오버헤드 : 어떤 처리를 하기위해 간접적으로 들어가는 시간, 메모리를 의미
■동적 변환(Dynamic mapping)
- 물리 주소와 논리 주소 쌍 중 하나만 알면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하나를 알아냄.
- ARP : 논리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 RARP : 물리 주소를 논리 주소로 변환(현재 잘 안씀)
IP의 데이터그램헤더에는 TCP, UDP, IGMP, ICMP가 실려서 전송됨. (캡슐화)
IGMP - Internet Group Message Protocol
로컬 네트워크에서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해있는 호스트들을 알려주는 제어 프로토콜
질의 , 응답을 통한 주기적인 확인.
로컬 서브네트워크를 벗어나면 폐기된다.
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오류/제어 메시지를 보고하는 형식의 프로토콜 . Tcp/ip 소프트웨어가 메시지를 처리한다.
오류를 보고하기만 하고 수정을 할 수는 없음.
■ARP 패킷 유형
- ARP Request : IP주소에 매핑되는 MAC 주소요청 (Boradcast)
- ARP Reply : 목적지 MAC 주소를 전송 (Unicast)
■ARP 프로토콜의 사용 예
- 웹브라우저로 사이트 접속 과정
- DNS 접근 시도를 위해 ARP Request 패킷 전송
- 목적지 IP에 접근을 위해 ARP Request 패킷 전송
■ARP 패킷의 내용
- 송신자
- 물리주소와 논리주소(MAC / IP)
- 수신자
- 물리주소와 논리주소(MAC / IP)
■ARP 캐시
- 수집된 IP주소와 이데 대응되는 물리주소 정보를 각 IP호스트에 테이블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
- 다음 요청 패킷은 ARP 캐시에서 읽어 사용.
- DOS 모드에서 확인
-arp -a : 캐시된 모든 주소를 보여줌
-arp -d : 캐시된 모든 주소를 삭제함
'2-1학기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UDP패킷분석 (0) | 2018.05.03 |
---|---|
IP 패킷 분석 (0) | 2018.04.16 |
ARP 프로토콜 문제 (0) | 2018.04.09 |
GCC로 C언어 프로그래밍 (0) | 2018.03.21 |
리눅스 명령어 (0) | 2018.03.21 |
서브넷팅서브넷팅
Posted at 2018. 4. 10. 21:00 | Posted in 2-1학기/CCNA의의
- 모자란 아이피수의 제한에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 브로드캐스트 트래픽감소로 인한 성능 향상
- 라우터에 필터링 기능을 넣어서 보안성향상
(라우터의 필터링 기능을 넣는 이유 : 라우팅 정보를 업데이트를 하는 중 필요로 하지 않는 경로 정보를 차단하거나 일부 경로 옵션을 바꾸고싶은 경우에 필터링을 사용. 라우팅루프, 플래핑같은 현상이 일어 날수 있음.)
■라우팅 루프 : 잘못된 경로정보로 계속 라우터를 루프하는것
■플래핑(Flapping) : 같은 MAC 주소를 갖는 포트가 2개 이상이 같은 콜리전 도메인 내에 존재할 때, 네트워크 스위치에서는 이 두 포트 사이에서 활성 및 비활성 상태가 반복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것을 플래핑(Flapping)이라고 한다.
■IPv4의 서브넷팅
- 프리픽스의 길이와 서브넷마스크는 다른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방법.
- 서브넷은 네트워크 비트가 호스트 비트를 빌려 생성.
- 호스트 비트를 많이 빌릴 수록 많은 서브넷 생성 가능.
8,16,24 프리픽스에서 네트워크는 쉽게 서브넷팅될수있음.
10.x.0.0/16을 서브넷팅
65534개의 호스트를 연결 할 수 있는 각 서브넷에 256개의 서브넷을 정의.
처음 16개의 2진수들은 네트워크 아이디를 식별 뒤의 16개 2진수들은 호스트아이피를 식별한다.
10.x.x.0/24
65536개의 서브넷과 254개의 호스트를 가짐.
/24 서브넷팅은 호스트수때문에 가장 많이 쓰이는 바운더리임.
■매직넘버
서브넷 계산에 사용하는 숫자
서브넷팅에서의 매직넘버는 단순히 서브넷 마스크의 마지막 값의 자리값
/25 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 magic number = 128
/26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 magic number = 64
/27 1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 magic number = 32
■서브넷 수 계산공식
2^n (n = 빌려온 호스트 비트 수)
■호스트 수 계산공식
2^n - 2 (n = 호스트필드에 남아 있는 비트의 수)
여기서 - 2를 하는이유는 네트워크 아이디로 가장 앞의하나와 브로드캐스트용 주소를 하나씩 주기때문이다.
(ex - 192.168.1.0/24 -> 192.168.1.0 / 192.168.1.255)
위의 예시에 공식을 대입하면
서브넷의 수는 2^n (n=3)
2^3 = 8개
호스트의 수는 2^n - 2 (n=5)
2^5 - 2 = 32 - 2(네트워크 주소, 브로드캐스트) = 30개
매직넘버는 맨마지막 1인비트가 2^5째 자리니까 32
192.168.1.0/27 (1의 갯수)
매직넘버수만큼 주소를 가지므로
192.168.1.0/27
192.168.1.32/27
192.168.1.64/27
192.168.1.96/27
192.168.1.128/27
192.168.1.160/27